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

우분투 리눅스에서 vim 설정 변경. 우선은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vim-tiny를 사용한다. 세세한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vim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 sudo apt-get install vim 그 후에 vim설정 파일인 vimrc를 바꿔주어야 하는데,두가지 버전의 설정파일을 만들 수 있다. 첫번째는 글로벌 파일로 모든 유저들의 vim 환경을 결정하는 파일이다. (/etc/vim/vimrc) 두번째는 로컬 파일로 각 유저마다 자신의 vim환경을 결정하는 파일이다. (~/vimrc) 우분투가 데스크탑용 os로 혼자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디에 파일을 위치해도 차이가 없다. 다음은 vimrc파일 안에 넣어주는 설정들이다. set syntax set cindent : 자동 indent set number : 줄번호 syntax on :.. 2009. 3. 29.
이더넷 프레임 (Ethernet frame) 2009. 3. 27.
High speed RSA implementation 2009. 3. 27.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C) 2009. 3. 27.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RSA) 2009. 3. 27.
OpenSSL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보안 통신 2009. 3. 27.
Libpcap 파일 형식 대개 pcap이라는 확장자를 갖는 파일로 주로 네트워킹 툴에서 주로 쓰이며 패킷의 정보를 담고 있다. 여기서 파일이 어떤 식으로 쓰이는지를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pcap파일의 큰 그림은 아래와 같다. Global Header Packet Header Packet Data Packet Header Packet Data Packet Header Packet Data ... 가장 처음 글로벌 헤더부분에서 파일의 기본적인 형식등을 지정해주고, 그 다음에 패킷 정보들이 차례대로 위치하게 된다. 글로벌 헤더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typedef struct pcap_hdr_s { guint32 magic_number; /* magic number */ guint16 version_major;.. 2009. 3. 2.
여러 네트워크 패킷 헤더들. 1. IPv4 헤더 2. IPv6 헤더 3. ICMP 헤더 4. TCP 헤더 5. UDP 헤더 6. Ethernet Header 2009. 3. 1.
당나귀 서버주소 eDonkey server1(92.241.164.30:4242) eDonkey server2(212.63.206.35:4242) Kingdom1(89.248.172.54:4500) Kingdom3(89.248.172.86:4500) Kingdom2(89.248.172.50:4500) DonkeyServer No1(129.47.150.6:4661) DonkeyServer No9(207.171.62.239:4661) 2008. 12. 16.